1-1. 2022Q3 어닝 발표가 있었습니다.
1. EPS(Non-Gaap) : $ 1.05 (예상 : $ 1.01)
2. Rev(총매출) : $ 21.45B(예상 : $ 21.88B)
3. 자동차 그로스 마진 : 27.9%(예상 27.5%)
: 지난 2분기 총매출은 16.93B 이었고 지금까지 역대 최대 총매출을 기록한 분기는 올해 1분기(18.76B)였습니다.
따라서 총매출로 보면 사실상 이번 분기 실적이 역대 최고였습니다.
1-2. 어닝콜 정리입니다.
1) 4680셀 생산에 대한 빠른 견인력을 갖고 있다.
2) 약 한달 후 FSD 베타가 공개 릴리즈 된다.
3) Q4 수요 높으며 생산하는 모든 차량 판매 가능할 것이다.
4) 내년 $ 5- 10B 자사주 매입 가능성 높다. 합리적이라 판단이라 생각하며 이사회의 승인이 있어야 한다.
5) 애플, 아람코 시총 띠라 잡을 수 있을 가능성을 처음으로 봤다
6) 테슬라는 IRA 법안의 조건에 모두 충족할 수 있을 것이다.
7) 테슬라는 생산, 납품, 매출 등 연간 50% 성장률을 유지할 것이다.
8) 3Q의 전체 딜리버리 중 2/3 은 9월에 진행됐다.
9) 사이버 트럭은 계획대로 내년 중반 생산할 예정이다.
10) 세미 트럭은 무거운 화물 운반시에도 500마일 주행이 가능하다.
11) 4680 팩을 주당 1천개 이상 생산할 예정이다.
12) 24년까지 북미에서 세미 트럭 생산 잠정 목표는 5만대이다.
13) 경기 침체 있든 없든 생산량 줄이지 않을 것이다.
14) 23년 경기 침체가 있더라도 우리는 의미있는 현금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15) 차세대 차량은 크기를 줄이고, 모3/Y 플랫폼 비용의 반이 될 것이다.(엄청난 생산량을 보여줄 것)
16) 애플과 아람코 합친 시총 $4.3T 를 미래에 추월할 것이며 이는 옵타머스 매출을 제외한 예측이다.
17) 원자재 가격은 감소했지만 배터리 재료 가격은 여전히 높다, 또한 운송비 엄청나게 저렴해졌다. 결과적으로 2023년 차량 가격이 약간 낮춰질 수 있지만 바로 일어나지는 않을 것이다.
18) 회사들 X로 통합할지는 아직 미지수이다.
19) 세미트럭 아직 4680셀 사용하지 않고 만들고 있으며 4680셀을 장착하여 만들시에도 사이버 트럭 생산에는 방해되지 않을 것이다.
20) 트위터를 인수한다면 명백히 비싼 가격의 인수이지만 트위터는 큰 가능성이 있다.
1-3. 이번 어닝&콜 후의 개인적 의견입니다.
언제부터인지 '어닝의 비팅 vs 미스'보다 컨콜에 주목했던 것 같습니다. 단기적으로는 월가 애널리스트의 평균 예측치에 부합되지 않을 수 있지만 컨콜을 통해 미래의 성장성을 확인해 볼 수 있기 때문이죠.
이번 컨콜에 대해 개인적으로는,
1) 경기 침제 상황 속에서도 꺾이지 않은 수요 증가와 2) 내년 IRA 적용으로의 강한 매출과 마진, 3) 그리고 세미와 사이버 트럭 이후를 준비하는 테슬라의 플랜을 확인할 수 있어서 만족스러웠습니다.
이번 컨콜에서 향후 시총 1위 언급도 했었는데 최고 관리자의 시선에서 회사를 바라봤을 때 어느 정도의 흐름이 그려지겠죠. 만약 이런 일론의 관점대로 흘러간다면 현 시총 및 주가 대비 2030년 안에 6-10배의 펌핑이 있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생각해 봅니다.
또한, Rev 미스로 장 후 주가가 많이 하락한 상황이지만 유독 심하게 반응하는 사람들은 항상 있어 왔기에 크게 염려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이른 시각부터 어닝 확인하시느라 고생하셨고, 행복한 오후 되시길요.. ^^
2. 테슬라 차량들이 2023년형 생산에 들어갔다는 소식입니다.
'테슬라(Tesla)'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 10. 22. 테슬라 소식 (9) | 2022.10.22 |
---|---|
2022. 10. 21. 테슬라 소식 (20) | 2022.10.21 |
2022. 10. 19. 테슬라 소식 (12) | 2022.10.19 |
2022. 10. 18. 테슬라 소식 (12) | 2022.10.18 |
2022. 10. 17. 테슬라 소식 (4) | 2022.10.18 |
댓글